유교 2

한국의 고유신앙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온 시기는 대략 150년 전이다. 서양에 비교하면 매우 늦은 편이다. 성경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 선조는 이방 문화와 종교에 젖어 살았다. 우상숭배와 더불어 살면서 율법이 없었기에 죄를 죄로 여기지 않았다. 안타까운 일이며 영적 어둠이 깊이 자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었다. 다행히 외국 선교사들의 활동과 공헌으로 우리나라에 복이 임했다. 이분들이 무지한 백성을 가르쳐 우상숭배와 미신적 행위, 거짓 정보를 깨우쳐 주었기 때문이다.고유신앙에 관해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보다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더하기 위함이다. 신앙은 뿌리가 다르더라도 이상하게 잘 섞인다. 즉 혼합이 된다는 말이다. 이를테면 한국의 기독교는 한국적 색채를 띤다. 다른 나라도 사정이 비슷하다. 왜 그런걸까? 복음이 달라..

신학 가이드 2020.02.22

율법주의의 폐해

오늘은 다소 무겁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율법주의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교회에 다닌다면 아마 들어본 적 있으실 겁니다. 율법주의는 우리에게 해악을 끼치는 면이 꽤 있기 때문에, 재미는 없더라도 꼭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알고 나서야 주의가 가능하니까요.교회사에서 율법주의는 거의 등장하지 않은 때가 없었습니다.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율법주의도 항상 따라붙습니다. 그리고 복음을 변질시키며 교회를 병들게 만들었지요. 정말 주의해야 할 대상입니다. 율법주의는 복음의 반대 위치에 놓인, 서로 상충하는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복음과 율법주의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유대인은 일찍이 하나님으로부터 율법을 수여받았습니다. 율법은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준수해야..

신학 가이드 2020.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