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2

오늘날의 우상숭배는 자기 숭배

성경에서 인간의 불신앙적 행위로 대표적인 것은 우상숭배입니다. 선민 이스라엘이 복의 근원이 되기까지 긴 여정에서 늘 긴장을 가져오는 요소는 우상숭배였습니다. 우상숭배는 하나님께서 가증히 여기는 죄였고, 오래 참으시다가 후에 징벌하셨습니다. 우상숭배는 본능처럼 저절로 만들어져 나옵니다. 배우지 않았어도 잘 만듭니다. 대홍수 이전에는 별다른 기록이 없지만, 세상이 사람의 죄악으로 가득하였다고 성경은 전합니다. 족장 시대에는 유대 전승이나 고고학 자료들로 유추해볼 수 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갈대아 우르는 도시의 수호신인 달의 신을 섬겼습니다. 라헬이 아버지 몰래 훔친 드라빔은 가문에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물건이었습니다. 애굽은 일찍이 황소 형상의 '아피스'라는 신을 섬겼습니다. 애굽으로 이주한 이스라엘 자손은..

신학 가이드 2021.11.21

한국의 고유신앙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온 시기는 대략 150년 전이다. 서양에 비교하면 매우 늦은 편이다. 성경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 선조는 이방 문화와 종교에 젖어 살았다. 우상숭배와 더불어 살면서 율법이 없었기에 죄를 죄로 여기지 않았다. 안타까운 일이며 영적 어둠이 깊이 자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었다. 다행히 외국 선교사들의 활동과 공헌으로 우리나라에 복이 임했다. 이분들이 무지한 백성을 가르쳐 우상숭배와 미신적 행위, 거짓 정보를 깨우쳐 주었기 때문이다.고유신앙에 관해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보다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더하기 위함이다. 신앙은 뿌리가 다르더라도 이상하게 잘 섞인다. 즉 혼합이 된다는 말이다. 이를테면 한국의 기독교는 한국적 색채를 띤다. 다른 나라도 사정이 비슷하다. 왜 그런걸까? 복음이 달라..

신학 가이드 202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