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 2

마음의 병

사람은 살면서 건강하고 장수를 누리기 원한다. 설령 욕심이 없더라도 이는 공통된 생각일 것이다. 그러나 병원에 오가는 환자들, 가득 들어찬 병상을 보면 이것이 쉽게 이룰 소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병은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손님이다. 그리고 우리에게서 너무나 소중한 것을 앗아간다. 병이 있는 한 자유롭지 못하고 고통과 괴로움이 따른다.마음의 병도 마찬가지다. 육신의 병 못지않게 자유를 옭아매며 삶을 불행하게 만든다. 또 눈에 보이는 상처와 다르게 치료의 실마리를 못 찾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발병해도 딱히 방법이 없고 치료를 할 수 없어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치료받더라도 호전이 잘 안되며 경제적 비용에 비해 얻어지는 것이 별로 없다. 당사자나 가족들에게 있어 힘겨운 짐이자 벗어날 수 없..

신학 가이드 2021.04.23

정신병적 장애에 나타나는 증상

계속되는 경기침체와 더불어 한국 사회는 여러 고질적인 문제를 떠안고 있다.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저출산, 인구 고령화 그리고 그 여파로 인해 발생하는 더욱 암울한 전망들이다. 미래의 불확실성과 경제적 어두운 전망은 새롭게 인생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큰 불안감을 준다. 조사에 따르면 20대 청년들의 정신건강이 매우 나빠졌다고 한다. 지난해 20대 우울증 환자는 9월 기준으로 9만8434명으로, 2014년 4만9975명 보다 97% 증가했다. 5년 전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시기는 늦어도 2025년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초고령사회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20% 이상인 사회를 의미한다. 이는 국가적 부양부담, 소비심리의 둔화, 새로운 빈곤층의..

신학 가이드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