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이스라엘을 둘러싼 고대 근동의 주요 지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읽는 성경에는 다양한 민족과 나라가 등장합니다. 성경은 이스라엘의 좁은 땅을 넘어서 매우 광범위한 지리적 배경을 가지는 셈입니다. 그 지역을 일컬어 고대 근동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성경의 지리적 배경이 되는 고대 근동의 주요 지역을 알아보며 성경에 관한 이해를 높이려고 합니다.
먼저 이스라엘의 위치를 보면, 근동 세계에서 이스라엘의 상황이 어떤지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곳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사이를 오가려면 지나칠 수밖에 없는 길목입니다. 두 지역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어요. 위쪽에 두 개의 강을 끼고 발달한 메소포타미아가 있고, 대칭을 이루는 곳에 이집트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잘 알려진 곳입니다.
이스라엘이 국제 정세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보이십니까? 작지만 요긴한 위치에 붙어있어서 무역과 상업이 활발할 땐 여러 가지로 좋은 일이 뒤따릅니다. 반면, 두 강대국 사이에 전쟁을 벌어지면 피할 수 없이 싸움에 휘말려 버립니다.
두 문명의 발상지에는 하나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강이 흐른다는 점이지요. 고대 사회의 경제적 기반은 주로 농업이었는데, 그 지역은 기후나 토질, 강수량 면에서 합격점이었습니다. 해마다 풍성한 농작물을 거두면서 기술, 문화, 사회적 발전을 이룩한 것입니다. 고대 이스라엘도 농업이 경제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옆에 넓은 벌판으로 보이는 곳은 아라비아 사막입니다. 이스라엘의 동쪽, 남쪽 경계 밖에는 사막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습니다. 사막은 물이 귀하니 살기 힘든 땅입니다. 출애굽기, 민수기를 읽으면 아말렉족과, 미디안족과 싸운 이야기가 나옵니다. 대체 그들은 어디서 사는 사람일까요? 아말렉족은 네게브 사막 지대에 사는 유목민이고, 미디안족은 아라비아 사막과 그 아래쪽 지역에 흩어져 살았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들의 약탈과 침략 행위는 사사 시대와 초기 왕정 시대까지 이어집니다. 정당화할 수는 없지만 풍부한 소산을 내는 경작지가 부족했던 그들은 이스라엘의 토지가 많이 부러웠을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대적 이야기라면 블레셋이 빠질 수 없습니다. 블레셋은 서부 해안에 터전을 잡고 이스라엘 자손에게 치명적인 위협을 가하며 오랜 기간 옆구리의 가시 노릇을 해왔습니다. 이들은 그레데섬이나 에게해의 여러 섬에서 이주해 온 그리스계 해양 민족으로 여겨집니다. 종교적으로는 반인반어 형상인 다곤, 풍요와 다산의 여신 아스다롯, 파리 모양의 신 바알세붑을 섬겼습니다.
메소포타미아는 함의 손자 니므롯의 왕국과 구약시대에 등장하는 초강대국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본거지였습니다. 족장 아브라함의 고향이기도 하지요. 아브라함이 갈대아 우르에 살던 사람인 거 아시지요? 갈대아가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부르는 표현입니다. 이 땅은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두 강 사이의 지역 일대를 포함하며, 홍수가 날 때마다 강의 상류로부터 기름진 흙더미가 떠내려와 땅이 비옥하고 농사짓기에 유리했습니다. 현재는 이 자리에 이라크와 시리아가 있습니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집트를 일러 나일강의 선물이라 불렀습니다. 그만큼 문명의 발전에 있어서 나일강의 공로가 컸다는 사실입니다. 이집트는 태양신의 아들로 떠받들어지는 파라오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태양력, 기하학, 건축술, 천문학, 의학, 문학 등 높은 수준의 문명을 자랑했습니다. 그 유명한 피라미드, 미라, 상형 문자가 이집트에서 나온 것이지요. 구약성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오경이 모세에 의해 기록되었는데 이집트에서 배웠던 학문이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설명한 두 문명 사이에는 국제적인 대로가 발달하여 두 지역을 연결해 주었습니다. 그중에 하나는 '대간선 도로'라고 불리며 이집트와 이스라엘 서부 해안에 위치한 지역을 모두 연결해 주고 므깃도와 하솔을 지나 다메섹까지 뻗어 있습니다. 아마 주요 무역로가 되었을 것입니다.
두 번째 도로는 '왕의 대로'라고 불립니다. 이 도로는 아카바만 북단에 있는 엘랏, 에시온 게벨 지역에서 시작되며 고대의 에돔과 모압 땅을 통과하여 요단 동편의 길르앗과 바산을 지나 다메섹으로 통합니다.
- 존 커리드, 데이비드 배릿, [부흥과개혁사 ESV 성경 지도], 2011, 부흥과개혁사
- 성서문화교육원, "블레셋 이동경로", 2015, http://www.culturalbible.com/?attachment_id=1884
- Hebrew Nuggets, "Nugget #238: Take the King’s Highway Home", 2017, https://hebrewnuggets.org/nugget-238-take-the-kings-highway-home/
'신학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응이 끝나는 날 (0) | 2020.02.21 |
---|---|
삼사 대까지 임하는 보응 (0) | 2020.02.21 |
신분에 따른 보응의 차이 (0) | 2020.02.21 |
언어의 혼잡 (0) | 2020.02.21 |
영적 상태를 주의하자 (0) | 2020.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