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Caesar Augustus. 본명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Gaius Octavius)이며 로마의 세 집정관 중의 한 명이었는데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단독으로 로마 최고의 권력을 장악하였다. 기원전 27년 로마 원로원은 그의 지위를 인정하여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수여했고 그것이 그의 이름처럼 사용되었다.
2:3 호적 등록은 세금과 군역을 부과하기 위해 각 지방에서 실시했던 행정 조사였다. 성인 국민에게 의무적으로 적용되었기에 빠짐없이 고향으로 돌아가야 했다.
2:7 laid him in a manger. 아기가 구유에 누인 정황으로 미루어, 예수님이 태어나신 곳은 평범한 집이 아닌 마구간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 . . 영원히 야곱의 집을 왕으로 다스리실 것이며 그 나라가 무궁하리라"(1:32, 33)하던 천사의 말이 무색하리만큼 초라한 탄생이었다.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지만 천민처럼 자신을 낮추신 그리스도는 우리가 진정 닮아야 할 겸손의 표상이시다(빌 2:5~8).
2:9 angel. 이를테면 우체부처럼 소식을 전달하는 주의 천사.
2:11 Savior. 기원후 1세기 헬레니즘 세계에서 아우구스투스는 신에 버금갈 존재로 칭송을 얻고 평화의 구원자로 군림했다. 그만큼 그가 이룩한 업적은 역사적으로 대단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생각이 그러할 뿐, 그는 구원자가 될 수 없다. 진정한 구원자는 죄로 인한 심판과 멸망에서 인류를 구해낼 자다. Christ. '기름부음 받은 자'를 의미하는 헬라어에서 나왔으며 '메시아'와 같은 말이다. 구속 사역을 시작하실 때부터 예고되었고 꾸준히 언급된 기록이 있다(창 3:15; 신 18:15; 사 11:1; 렘 23:5, 6; 겔 34:23; 단 9:25; 말 3:1).
2:14 those with whom he is pleased. 그리스도의 탄생은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자들에게 감격에 겨운 소식이다. 반면에 세상 사람들은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유대 왕 헤롯은 자기 외에 다른 왕을 용납할 수 없었고 베들레헴의 아기를 모조리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마 2:16).
2:19 Mary treasured up all these things. 천사로부터 받은 계시를 가벼이 여기지 않았다는 말이다. 그녀는 아기를 보살피고 양육할 어머니의 입장이었지만 그와 동시에 구원을 위해 구세주를 의지해야 하는 죄인의 신분이기도 했다. 자신이 낳은 아기는 이 세상의 구주로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인식해야 했다.
2:22~24 모세의 때로부터 시작된 정결 예식이 이때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알게 해 준다. 레 12:1~5에 따르면, 남아를 낳으면 이레 동안 부정하고 이후 삼십삼일 동안 성물을 만지지 말며 성소에도 들어가지 말라 명하고 있다. 제물로는 일 년 된 어린 양과 산비둘기 또는 집비둘기 새끼 한 마리를 드리는데, 형편이 어려우면 어린 양을 제외하고 대신 비둘기 두 마리를 드리도록 했다(레 12:6~8).
2:25~38 성령의 지시를 받는 신령한 종들이 등장하여 독자를 놀라게 한다. 당사자인 요셉과 마리아도 예기치 않은 만남에 놀랐을 것이다. 누가의 묘사에서 그들은 옛 믿음의 선진을 닮았다. 신앙이 형식화되고 믿음이 불투명해진 시대에 이런 사람들은 무척 귀하다. 종교 지도자들이 이처럼 살아있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면 예수님께 그렇게 책망 들을 일은 없었을 것이다(마 23:13~36).
2:25 the Holy Spirit was upon him. 보편적으로 성령을 내려주시는 때가 아니므로 이 사람은 특별히 부름 받은 종, 곧 선지자임을 알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생애에 그리스도가 오시리란 계시를 받았고 오랜 기다림 끝에 주를 만날 수 있었다.
2:30 your salvation. 그가 본 구원은 현재 우리 눈에 더 명확히 드러났고, 이후에는 현실로 완전히 이루어질 것이다.
2:32 a light for revelation to the Gentiles. 복음이 이방 세계까지 전파될 것을 시사한다.
2:34, 35 시므온은 제사장과 같이 그들을 축복하고 선견자처럼 앞을 내다보는 메시지를 전한다. 마리아에게 이른 내용은 예수께서 당하실 일이지만 간접적으로 그녀와 연결된다. 예수님은 회개하지 않는 자들에게 냉대를 받을 것이며(4:24, 10:13) 비방하는 말과 험담을 듣게 되실 것이다(11:15). 이는 역사 이래 여호와의 종이 겪어온 일이었다.
2:41 유월절은 세계 각지에 흩어진 유대인들이 모이는 유대의 큰 절기다.
2:42 twelve years old. 공식적으로 성인이 되어 율법을 이행하는 책임이 주어지는 나이는 열세 살이다. 그때부터 한 성인으로서 유대교 공동체에 입회하게 된다.
2:43~45 왜 예수님이 남아계시고 부모는 길을 갔는지, 누가는 설명하지 않는다. 유추하기로는 그의 어린 동생들이 있었고 예수님은 많이 자랐으니 신경을 덜 쓴 부분이 있었을 것이다.
2:49 my Father's house. 소년 예수님은 성전을 일러 '내 아버지의 집'이라 부르셨다. 사실 그대로를 말씀하신 것이지만 보통의 유대인들은 생각지도 못한 표현이고 듣는 사람들이 무척 놀라는 반응이었을 것이다.
2:51 submissive. 하나님의 아들이시고 그들의 주가 되시지만 자녀의 역할에 충실하시고 순종하심은 오늘날 우리가 본받을 점이다. 예수님은 우리 죄인들을 위한 의가 되시려고 모든 율법의 요구를 이행하셨다(롬 3:21).